화학/고등 화학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화학1]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오늘 다룰 주제는 화학1 1단원인 '화학의 유용성' 단원에 소개되어있는 하버-보슈법(Haber-Bosch process) 입니다. 질소고정과 하버-보슈법에 각각의 주제를 따로 상세히 다루는 글을 작성할 계획에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하버 보슈법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질소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야 합니다. 질소(N) 는 단백질과 핵산을 구성하는 필수 원소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물은 공기 중의 질소 기체(N2) 를 직접 흡수하여 이용하지 못합니다. 대기의 78%가 질소 기체인데 이를 직접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질소기체 (N2)를 이루는 두 질소 원자 사이의 결합이 삼중결합으로 매우 강하기 때문입니다. 무려 결합에너지가 942kJ/mol 이나 됩니다. 따라서 질소.. [화학 1] 철의 제련 화학 I 시작에는 화학의 유용성이라고 해서 잡다한 화학 반응들과 실생활을 연결지어 설명하는 목차가 있습니다. 그중 첫번째로 주의깊게 볼 만한 내용이 바로 철의 제련입니다. 역사시간에 배울 수 있듯이, 철의 이용시기는 구리(청동) 보다 한참 뒤인데요, 그 까닭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구리가 철보다 녹는점이 낮아 제련하기 더 쉬웠습니다. 두번째로, 구리의 반응성이 철보다 작아 광석으로부터 순수한 금속을 얻기 더 쉬웠습니다. 그러나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더 강한 철을 제련하여 사용하기 시작했고, 현대까지도 철은 여러 곳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강도가 높고 여러 형태로 가공하기 좋으며, 합금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철의 제련법 1)먼저, 용광로에 철광석과 코크스, 석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