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고등 화학

[화학 1] 철의 제련

 화학 I 시작에는 화학의 유용성이라고 해서 잡다한 화학 반응들과 실생활을 연결지어 설명하는 목차가 있습니다. 그중 첫번째로 주의깊게 볼 만한 내용이 바로 철의 제련입니다. 

<마인크래프트 철 주괴>


 역사시간에 배울 수 있듯이, 철의 이용시기는 구리(청동) 보다 한참 뒤인데요, 그 까닭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구리가 철보다 녹는점이 낮아 제련하기 더 쉬웠습니다.

두번째로, 구리의 반응성이 철보다 작아 광석으로부터 순수한 금속을 얻기 더 쉬웠습니다.

 

그러나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더 강한 철을 제련하여 사용하기 시작했고, 현대까지도 철은 여러 곳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강도가 높고 여러 형태로 가공하기 좋으며, 합금을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1.철의 제련법

 

1)먼저, 용광로에 철광석과 코크스, 석회석 함께 넣고 뜨거운 공기를 유입시켜주어 철을 용융시킵니다. 

*코크스(coke)란?: 탄소 함량이 높고 불순물이 미량인 연료의 일종으로, 골탄 또는 해탄이라고도 부릅니다.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사람에 의해 석탄을 원료로 만들어집니다.

2) 밀도 차이에 의하여 밀도가 큰 철은 아래쪽으로 분리되어 나오고, 밀도가 작은 슬래그(철광석을 제련하고 남은 찌꺼기,CaSiO3) 는 그보다 위쪽에서 분리되어 나옵니다.

 

이렇게 용광로에서 얻어진 철은 '선철' 이라고 하며 탄소와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강도가 낮고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후처리 과정을 통해 탄소의 함량을 줄여 강철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직접 만들어본 용광로의 원리...>

2. 용광로에서의 화학 반응

1. 코크스(C)의 불완전 연소가 일어납니다.

 

 

2. 산화 철(Fe2O3)과 일산화탄소(CO)가 반응하며 철광석이 철로 환원됩니다.

3. 석회석(탄산칼슘, CaCO3) 가 높은 온도에서 가열되며 이산화탄소(CO2) 를 잃고 산화 칼슘(CaO)가 생성됩니다.

4. 산화 칼슘(CaO)와 철광석의 불순물인 이산화 규소(SiO2)가 반응하여 슬래그가 됩니다.

 

 내용이 완벽하지 않을 수 있고, 수정해야 할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ference: 

1) 김봉래 외2, 「하이탑 고등학과 화학 I」, 동아출판, 2018,11p

'화학 > 고등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1] 하버-보슈법 (Haber-Bosch process)  (0) 2023.05.02